김명립 빌릭스 대표 “세계 최초로 합성 빌리루빈으로 신약을 선보이겠습니다.” 김명립 빌릭스 대표는 20일 롯데호텔 제주에서 열린 ‘2025 한경바이오인사이트포럼’에서 빌리루빈 나노입자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신약개발 전략을 발표했다. 마땅한 치료제가 없는 허혈 재관류 손상(IRI) 및 신장 손상 치료제를 개발해 국내에서만 2000억원 규모 시장을 정조준하겠다는 계획이다. 빌리루빈은 적혈구가 파괴됐을 때 나오는 색소다. 황달 정도를 가늠하는 지표로 쓰이기도 한다. 김 대표는 “빌리루빈은 강력한 항산화제이면서 면역조절제로 항염증 기능이 탁월하다”고 설명했다. 빌리루빈의 항염증기능은 오래 전부터 알려져 있었다. 1938년엔 류머티즘 환자가 황달에 걸리자 관절염이 개선됐다는 보고가 나왔다. 영국인 40만명을 대상으로 하는 추적조사 결과에서 빌리루빈 수치가 높으면 폐암 발병률이 낮아지고 수명이 길어진다는 연구결과도 있었다. 하지만 빌리루빈을 약으로 개발하는 데 성공한 사례는 이전까지 없었다.Read More →

Bilix, a pioneering Korean biotech startup, is capturing global attention with its revolutionary PEGylated bilirubin technology. Known as Brixelle®, this cutting-edge platform promises to transform the treatment landscape for inflammatory diseases and offers significant potential to save millions of lives worldwide. Brixelle®: The World’s First PEGylated Bilirubin Platform Bilix’s flagship technology, Brixelle®, is a groundbreaking innovation that merges bilirubin’s powerful antioxidant properties with hydrophilic polyethylene glycol (PEG) to create a novel treatment for oxidative stress. This advanced PEGylated bilirubin platform not only protects cells and tissues from damage but also provides anti-inflammatory benefits through a sophisticated immunomodulatory mechanism. The nanoparticle formulation of Brixelle® enables versatile applications acrossRead More →

비혈관용 스텐트 제조 기업 엠아이텍이 차세대 염증치료 물질로 주목 받는 ‘빌리루빈’을 약제화 하는데 성공한 빌릭스와 공동 연구개발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빌릭스는 빌리루빈을 약제화 하기 위해 전상용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과학과 교수와 김명립 대표가 함께 창업한 혁신의약품 개발기업이다. 빌릭스가 의약품으로 개발 중인 후보물질의 핵심 약리활성구조인 빌리루빈은 지난 85년간 3만여편 이상의 논문을 통해 강력한 항염 조절 효과가 증명됐다. 다만 물에 녹지 않는 수용성 성질을 극복하지 못해 그동안 약제화가 어려웠다. 이러한 어려움을 전상용 교수는 페길화(몸에서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보호막 작업) 기술을 접목해 빌리루빈을 수용성 나노입자로 제조해 물에 녹을 수 있도록 했다. 이 기술을 바탕으로 김명립 대표와 함께 빌릭스를 공동 창업하게 됐다. 김명릭 빌릭스 대표는 “양사 간 공동연구 개발을 통해 혁신적인Read More →

블로터와 한국바이오협회가 바이오 기업을 만나 산업이슈를 조명합니다. “도전이 없으면 신약도 없다고 생각한다. 누군가는 허혈성재관류손상 치료라는 어려운 과제에 도전을 해야하며, 빌릭스는 기술적으로 준비돼있다.” 국내제약바이오 기업에게 세계 최초(First-in-class) 치료제 개발은 중요한 가치를 가진다. First-in-class 치료제 개발은 회사가 가진 기술력과 전략 그리고 자본 등 여러 요소가 뒷받침 돼야 이룰 수 있는 영역이기 때문이다. 수많은 바이오벤처기업이 다양한 물질과 플랫폼을 바탕으로 다양한 질환을 공략 중이다. 그 중 김명립 대표가 이끄는 빌릭스 역시 빌리루빈 약제화를 통해 ‘허혈성재관류손상’ 영역에서 First-in-class 치료제 개발을 노리고 있다. 빌릭스가 연 빌리루빈 약제화 길…’허혈성재관류손상’ 정조준 지난 2018년 10월 설립된 빌릭스는 오랫동안 약제화 시도가 이뤄졌던 빌리루빈(Bilirubin)을 기반으로 신약개발 연구를 진행 중이다.  빌리루빈은 1930년대부터 항염증 물질로 주목받았지만, 물에 녹지 않는 특성으로 약제화에 어려움이 컸던Read More →

성인 64명 대상으로 안전성 및 내약성 평가, 연내 첫 투여임상 2상은 FDA 임상 허가 받아 미국서 2년간 진행 예정대표 “2026년 상장 목표, 기술이전으로 조기매출 낼 것” 빌릭스는 호주 인체 연구 윤리위원회(HREC)로부터 허혈성 재관류 손상 치료제 ‘BX-001N(제품명 브릭셀)’의 임상 1상 시험을 승인받았다고 8일 밝혔다. 빌릭스는 건강한 성인 64명을 대상으로 단회투여 증량시험(SAD)에서 BX-001N의 안전성 및 내약성을 평가한다. 다회투여 증량시험(MAD)에서는 최대 허용 용량 및 예비 임상 2상 권장 용량을 확인한다. 첫 투여는 연내 이뤄질 예정이다. 마상호 빌릭스 연구소장은 “BX-001N에 대해 우수실험관리기준(GLP) 수준의 안전성 시험을 완료했고 임상 1상 시험을 진행하기에 충분한 데이터를 확보했다”며 “신장이식 및 급성 신장 손상 환자를 고려한 비임상 효력시험에서 우수한 효능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빌릭스는 비임상 효력시험Read More →

South Korea has emerged as a hotbed for startups in recent years due to its vibrant technological ecosystem, government support, and rapidly growing consumer base. The presence of global companies has proved to be highly advantageous as these corporations provide substantial support and investments to local entrepreneurs. International companies and global investors have also recognized the potential of the Korean business landscape. The many advantages of business ventures in South Korea, like an evolved domestic market, the fastest internet connectivity, advanced technological infrastructure, convenient geographical location, etc., have fostered the growth of foreign startup ventures. Support from the Korean government also has a decisive roleRead More →

Bilirubin, a compound generally found in mammals, has potent antioxidant and immune-modulatory properties. Scientists have been attempting to develop a drug using the compound but have faced challenges due to its hydrophobic nature. To address this, Dr. SangYong Jon, a professor from The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AIST) and one of the founding members of Bilix, successfully attached polyethylene glycol (PEG) with bilirubin, transforming it into an amphiphilic nanoparticle. To address the limitations imposed by FDA guidelines, Bilix successfully developed a proprietary technology for the chemical synthesis of bilirubin. This breakthrough enables bilirubin production without relying on animal-origin sources, opening up newRead More →

MTN 감성인터뷰 [더 리더] 빌릭스 김명립 대표 출연: 빌릭스 김명립 대표진행: 머니투데이방송 김주영 기자 오프닝>과학 전문지 사이언스가 국내의 한 바이오 업체를 이례적으로 보도했습니다. 20년 설립된 직원 17명 규모의 작은 한국 업체를 주목한 배경에 관심이 쏠리는데요. 오늘 더 리더에선 빌릭스 김명립 대표를 모시고 사업에 대해서 얘기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Q. 빌릭스가 어떤 회사인지 소개 말씀 부탁드립니다.빌릭스는 2018년 10월달에 창업된 제약을 하는 연구 개발 회사이고요. 카이스트 (KAIST)의 전상용 교수님이 만드신 페길화 빌리루빈이라는 플랫폼으로 여러 가지 다양한 질병, 특히나 염증성 질환의 치료 약을 신약을 개발하고 있는 회사입니다. Q. 빌리루빈에 대해서 풀어서 설명해주실 수 있을까요?적혈구가 생명을 다하고 파괴되고 나면 헴(Heme)이라는 것이 생기고요. 그 헴(Heme)이 빌리버딘 (Biliverdin)으로 바뀌었다가 다시 빌리루빈 (Bilirubin)으로Read More →

항산화와 면역조절 기능 가진 빌리루빈 약제화 성공 가능성 조명반감기 짧고 물에 녹지 않는 빌리루빈 난제 푼 빌릭스 집중 소개빌릭스 “세계 최초 빌리루빈 합성 성공…하반기 1상 진입 예정” [팜뉴스=이권구 기자]  세계 최고 권위 과학저널  중 하나인 Science(사이언스)가 인체 유래 항산화 물질인 ‘빌리루빈’이 의약품으로 개발될 수 있는 가능성을 다루면서 국내 바이오 벤처기업 빌릭스(대표이사 김명립)를 집중 조명했다. 사이언스는 지난 8일 빌리루빈 연구 실패와 성공을 다룬 기사를 게재하고 빌리루빈 약제화 선두주자로 평가받고 있는 한국 바이오벤처기업인 빌릭스를 지목했다. 사이언스가 특정 기업 기술을 조명하는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빌릭스와 사이언스지에 따르면 수명을 다한 적혈구가 파괴되면서 생성된 빌리루빈은 일종의 대사성 폐기물로만 알려져 왔다가, 이후 많은 연구를 통해 강력한 항산화와 면역조절 기능을 갖고 있어 질병 치료에 유익한 물질이라는 것이Read More →

New view of molecule’s good side has inspired South Korean company to plan testing a synthetic version in people Generations of medical and biology students have been instilled with a dim view of bilirubin. Spawned when the body trashes old red blood cells, the molecule is harmful refuse and a sign of illness. High blood levels cause jaundice, which turns the eyes and skin yellow and can signal liver trouble. Newborns can’t process the compound, and although high levels normally subside, a persistent surplus can cause brain damage. Yet later this year up to 40 healthy Australian volunteers may begin receiving infusions of the supposedlyRead More →